본문 바로가기

인문학

이타심과 노년인생

이타심은 노년인생을 빛나게 해줍니다

 

 

- 같은 노년인생을 살면서도 누군가는 존경받는 노년으로 살고

또 누군가는 그렇지 못합니다.

- 사회의 어른신으로서 인생의 선배로서, 후배들과 젊은층에게

존경받는 분들이 있습니다.

- 그분들은 돈이 많아서도 아니고, 어떤 감투를 써서도

아닙니다.

체력과 미모가 남달라서도 아닙니다.

- 이분들에게는 남다른 것이 있습니다.

바로 이타심을 갖고 생활속에서 실천하시는 분들입니다.

- 즉 타인을 이롭게 배려하고 도와주는 심성이

삶 속에서 그대로 나타나는 분들이죠.

- 그래서 오늘 우리 중장년층 노년층에게 이타심은

노년인생을 빛나게 해줍니다라는 주제로

노년기 외부활동에서 타인의 의견과 입장을 존중하고

또 이해하며 도와주는 이타심을 실천하며 살자는 내용,

전해드리려고 합니다.

 

 

 

 

- 노년기일수록 이타심을 갖고 사는 것이 매우 중요한데요.

- 요즘은 7080대에도 각종 기관이나 모임에서

조직의 일원으로 활동하는게 특별한 일이 아닙니다.

- 또 여행이나 취미활동도 다양하게 하고 있고

이런 게 보편적인 노년기 문화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습니다.

- 노년기에 왕성한 활동을 하는 것은, 건강한 신체와 마음을

유지하는데 큰 도움이 됩니다.

- 다만 이런 활동을 할 때 후배들이나 젊은층으로부터

멋진 노년 인생을 사는 선배 또는 그 시니어 인생의

본보기가 되려면, 이타심은 필수입니다.

- 이타심은 우리가 잘 아는 사자성어 역지사지나 다름

없는데요.

내가 저 사람 입장이라면이라는 생각에서부터 생겨나고

또 실천으로 이어지기 때문입니다.

- 그런데 이타심을 가지려면 먼저 선행돼야 할 것이 있죠.

바로 이기적인 마음에서 벗어나기입니다.

- 어떤 상황에서든지 내 입장과 내 이익만을 먼저 생각하고

행동하면, 이것은 바로 이기적인 마음입니다.

- 비근한 예로 일상생활 곳곳에서, ‘세상이 내 맘 같지 않아

하면서 불평과 불만을 하는 시니어들을 만나기도 하는데요.

이 또한 이타심이 없어서 생겨나는 불만과 불평입니다.

- 때로는 자식도 배우자도 내 마음을 몰라 줄 때가 숱한데

어찌 일상생활 속에서 만나는 아무 관계도 없는 타인이

내 마음을 다 알아주겠습니까.

모르는 게 당연한 거죠.

그런데 이타심을 지녔다면 다를 겁니다.

그만한 사정이 있겠지, 내가 어떻게 도와주면 좋을까?

이런 마음을 먼저 갖게 되니까요.

 

- 제가 우리 장년층 노년층이 활동하는 영역을

두 갈래로 나눠서, 이타심을 잘 유지하려면 어떻게 하면

좋을지 알아보았습니다.

 

먼저 단체활동에서 어떻게 해야 할까입니다.

 

- 첫째는 의견은 말하되, 주장은 펴지 말자입니다.

- 내가 가진 생각이나 견해를 밝히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.

다만 내 의견은 말하되 그것이 답이다 라는 식으로 주장을

하지는 말자입니다.

- 주장은 의견이 아닌 내 입장과 내 생각에만 국한된 것이어서

자칫 그것을 강하게 주장하다 보면, 남들에게는 자기가

원하는 대로 자기것만 중시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지기

십상입니다.

- 게다가 주장을 펴다 보면 언성이 높아지기도 합니다.

- 나는 할 말 한다고 하지만 상대는 불쾌하게 생각합니다.

 

- 둘째는 그럴 수도 있다고 이해하자입니다.

- 상대가 어떤 의견을 내놓았을 때 그럴수도 있겠구나라고

받아들이는 겁니다.

- 그 사람의 입장에서는 그럴 만한 이유가 있을 거라고

이해하면 네 말은 잘못됐다’, ‘그건 아니다이런 식의

논쟁은 하지 않게 됩니다.

- 서로가 서로를 이해하다 보면, 조금씩 양보를 하게 되고

합의점을 찾게 되거든요

 

- 셋째는 내가 지갑을 조금 더 크게 열자입니다

- 일례로 단체활동에서는 종종 비용문제 가지고도

사소한 다툼이 일어납니다.

- 이런 문제를 사전에 차단하는 것은 내가 조금 더 내자

내가 조금 더 쓰자이런 거죠.

- 우리가 가끔씩 여러 명이 식사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.

- 요즘은 소위 갹출을 해서 식사비를 지불하는데,

계산이 아주 정확하게 떨어지질 않습니다.

- 2-3 천원 아니면 천원 부족할 때가 있어요.

그럴 때마다 내가 더 낼게라고 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.

- 이런 분들이 있어서 마무리가 한결 수월합니다.

 

다음은 일상생활에서는 어떻게 하면 좋을까?’입니다.

 

- 첫째는 저 나이라면 그럴 수도 있다 라고 생각하자입니다.

- 60대 이상이 되면 어딜 가든 대다수가 나보다 젊은층입니다.

- 여행을 가거나 쇼핑을 하거나 많은 사람들이 모인

행사장소에 가면, 2030 젊은 세대들 중에는 분위기에

들떠서 큰 소리를 내거나 연인끼리 과하게 보이는

애정행동도 거리낌없이 드러냅니다.

- ‘저 나이이니까 가능한 거다. 젊으니까, 피가 끓는 나이니까

라고 편안하게 받아들이고 미소짓는 얼굴로 대하면 됩니다.

- 이럴 때 부정적인 입장이 돼서 큰 소리로 지적을 하거나

인상을 찌푸리면서 흉을 보면, 결국 내 기분만 안좋아지고

자칫 말싸움이 될 수도 있습니다.

 

- 둘째는 내가 더 많이 살았으니 양보하자입니다.

- 아랫사람들과의 함께 있을 때 내리사랑을 실천하는 것은

당연한 것입니다.

- 어떤 환경에서든 같은 입장에 처해 있더라도,

경쟁을 하기 보다는 먼저 양보하는 겁니다.

- ‘나는 저들보다는 오래 살아서 이미 많이 경험했고

많이 먹어 봤고 많이 봤다라고 생각하고

양보하고 배려하는 겁니다.

- 그러면 후배나 젊은이들로부터 역시 선배님이라서,

어르신이라서 다르다라는 말이 나옵니다.

 

- 셋째는 화내지 말자입니다

- 외부활동을 하다 보면 그야말로 아무것도 아닌 일 가지고

또 내 의도와는 전혀 다르게 타인과 부딪히는 일이

종종 생긴곤 합니다.

- 내가 먼저 잘못한 게 아닌데도, 상대가 먼저 화를 내거나

불편한 시선을 보낼 때가 있는데요.

그러면 마음속으로는 화가 날 수도 있어요.

- 이런 경우 먼저 괜찮습니다’, ‘미안합니다라고 말하는 게

현명한 방법일 수 있습니다.

- 길에서 시장에서 대중업소에서 젊은층과 말싸움을 해야

아무 의미 없습니다.

되레 상대의 언행으로 인해 나만 상처받을 때가 많습니다.

 

주변에 이타심이 남다른 시니어 한 분이

있어서 소개해 볼게요.

70세 된 여성분인데, 몇 년동안 모임을 하면서, 이분이

누구에게 그거 아닌데’ ‘그거 잘못된 거야라고 말하는

것을 본 적이 없습니다.

누군가 나는 내 방식이 맞다고 보는데라고 해서

다른 분들이 눈살을 찌푸리는 상황에서도, 이분은

그럴 수도 있다 라고 생각하자. 일단 다름을 인정해주면

된다. 굳이 아니라고 잘못됐다고 반박하는 것은 싸움만

된다이런 식으로 유도합니다.

또 누군가 나는 주방도구 이런 게 필요한데, 그걸 어디

가서 사야 하지?’라고 하면, ‘그거 우리집에 두세 번만

사용하고 안쓰는 게 있는데 갖다 줄까요?’라고 말합니다.

식사비용 계산할 때도 총무가 5천원이 부족하다고 말하면

나는 오늘 열무김치를 정말 맛있게 먹었어. 그러니 맛있게

먹은 내가 더 낼게라고 합니다.

매사의 언행이 한마디로 지혜로운 그런 분입니다.

그래서 저는 이분은 이타심이 몸에 베어 있는 것 같다는

생각이 듭니다.

 
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
KBS3R

출발! 멋진 인생, 이지연입니다

< 박창수의 브라보 마이라이프 > : 230612 에서 박창수 작가의 방송 내용